반응형

🛍️ “입지보다 콘텐츠!” ‘올다무’가 유통공룡 이마트·홈플러스를 이긴 비결
과거엔 목 좋은 자리에 점포만 내도 장사가 됐습니다. 하지만 지금은 상품 기획력이 유통의 핵심이 되었어요. 올리브영, 다이소, 무신사, 이 세 브랜드의 약자인 ‘올다무’가 그 주인공입니다.
📌 목차
- 유통산업의 판도가 바뀌고 있다
- ‘올다무’는 누구?
- S급 상권 없이도 폭풍 성장한 이유
- 각 브랜드별 성공 전략
- 해외 사례로 본 ‘MD의 힘’
- 마무리 요약
1. 유통산업의 판도가 바뀌고 있다
모바일 쇼핑 시대, 대형마트의 시대는 저물고 있습니다. 지금은 입지보다 콘텐츠, 상품보다 기획력이 중요해졌어요.
2. ‘올다무’는 누구?
브랜드 | 매장 수 (2023) | 증가 수 (전년 대비) |
---|---|---|
올리브영 | 1,557개 | +73개 |
다이소 | 1,504개 | +134개 |
무신사 | 8개 | +20개 |
합계 | 2,969개 | +227개 |
같은 기간 대형마트들은 오히려 점포를 줄이고 있습니다.
3. S급 상권 없이도 폭풍 성장한 이유
올다무의 핵심은 ‘고객이 찾아오게 만드는 상품 기획력’입니다. 입지가 B급이어도, 콘텐츠가 강하면 사람들이 찾아옵니다.
유통업계 관계자: “이제는 고객이 상품을 따라 움직입니다.”
4. 각 브랜드별 성공 전략
🧴 올리브영
- 중소 브랜드와 협업한 히트상품 발굴
- 연매출 100억 브랜드: 36곳 → 100곳
- 입점 브랜드 중 80%가 중소·중견기업
💸 다이소
- 균일가 전략을 화장품·식품으로 확장
- 2만 원대 VT 제품을 3,000원으로 공급
- MD 주도의 제품 재설계로 가격 최적화
👕 무신사
- ‘무신사 에디션’ 통한 단독 한정판 판매
- 2024년까지 900개 이상 단독 상품 출시
- 단독 입점 브랜드 수: 58개 → 194개
5. 해외 사례로 본 ‘MD의 힘’
🇺🇸 미국 TJX
- 이월·반품 상품 매입 후 30~80% 할인 판매
- 2023년 매출 564억 달러 (2014년 대비 2배 ↑)
🇯🇵 일본 돈키호테
- 폐점 점포 전체 매입 후 초저가 전략
- 점포마다 다른 가격·진열 방식 → 탐험형 쇼핑
- 매출: 2014년 6,124억엔 → 2024년 2조951억엔
✅ 마무리 요약
항목 | 올다무 특징 |
---|---|
핵심 전략 | 입지보다 상품 기획력(MD) |
성장 방식 | 중소기업 협업, 가격 재설계, 단독 상품 |
시장 반응 | B급 상권에서도 소비자 몰림 |
해외 유사 모델 | TJX, 돈키호테 등 MD 중심 전략 |
반응형
'경제 > 생활 경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🚗 "에어컨 꺼졌다 켜진다?" 여름마다 반복되는 자동차 문제, 이 센서 하나로 해결됩니다! (0) | 2025.06.04 |
---|---|
📺 안되던 TV HDMI도 해결! BW-100으로 기기 연결 문제 싹 해결하는 방법 (0) | 2025.06.04 |
2만 원대 가성비 폭발! 르마틴 키높이 슬리퍼 솔직 리뷰 (0) | 2025.06.02 |
“내가 받을 공무원연금은 얼마?” 클릭 한 번으로 확인하는 방법! (0) | 2025.06.02 |
“차값 오른다?” 현대차, 미국서 전 차종 가격 인상 검토…진짜 이유는 따로 있다 (0) | 2025.05.30 |
“98인치가 4K?” TCL이 던진 파격 승부수…삼성·LG도 긴장한 이유 (0) | 2025.05.30 |
“구찌백이 9,000원?” 현대프리미엄아울렛 송도점 9주년 이벤트 난리 났다! (0) | 2025.05.29 |
티셔츠가 3천 원! 다이소에 스케쳐스·르까프 들어왔다…가성비 끝판왕 등장 (0) | 2025.05.28 |